다이어트를 하면서 초심을 유지하기는 너무 어렵다.
많이 먹고 움직이지 않으면 살이 찐다는 너무나도 당연한 논리의 반대로 하면 금방 살이 빠질 줄 알고 착각한다. 그런데 그게 쉽지가 않다.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니 금방 배가 고파온다. 평소보다 활동량을 늘리면 피곤함마저 몰려오니 이러다 건강을 해칠세라 다시 잘 먹는(?) 평소의 식습관으로 되돌아가기 일쑤다. 그래서 우리는 늘 다이어트에 실패하곤 한다.
초심을 잃지 않고 다이어트를 하려면 마인드 컨트롤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절제된 식단과 끝날 것 같지 않은 런닝머신 위에서의 시간에 지쳐갈 때 즈음, 살이 빠지느냐 그 동안의 고생이 헛수고가 되느냐의 기로는 결국 마인드 컨트롤이 좌우한다.
심리학자 엘런 랭어•알리아 크럼 하버드대 교수진이 호텔 종업원을 대상으로 ‘생각의 효과’가 체중감량에 미치는 결과를 연구했다. 이를 위해 첫 번째 그룹에는 ‘청소가 살이 빠지는 좋은 운동’이라고 설명했고, 두 번째 그룹에는 설명을 하지 않았다. 이후 첫 번째 그룹은 한달 후 체중과 체지방, 허리둘레가 줄었고 혈압 수치도 개선됐다. 그들의 생활과 일과는 변함이 없었지만 청소에 대한 ‘달라진 생각’만을 통해 얻은 결과였다. 아마도 첫 번째 그룹의 사람들은 살이 빠진다고 생각하고 몸을 더 많이, 격렬하게 움직이며 청소를 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그냥 살을 빼기 위해 운동을 하는 것은 어느 순간 지겨워지는 순간이 오지만, 기왕 일 때문에 청소를 하면서 살도 빠진다고 하니 더 신나게 몸을 썼을 것이다.
아무 생각 없이 점심식사 메뉴를 결정하기 보다는 저녁에 고깃집에서 회식이 있을 예정이니 점심에는 칼로리가 낮은 음식을 먹어볼까 라고 의식적으로 점심 메뉴를 골라보자. 하루 섭취하는 칼로리를 어느 정도는 관리할 수 있다. 아침에 오늘 하루 식단을 미리 생각하고 칼로리를 확인해보는 것도 다이어트에 도움이 될 것이다.
내가 닮고 싶은 몸매를 가진 유명 연예인의 사진을 냉장고 문에 붙여놓고 냉장고 문을 열 때마다 보는 것이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는 말도 결국 그 사진 속 날씬한 연예인처럼 살을 빼고 싶은 마음이 음식의 유혹을 뿌리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말일 것이다.
그렇다면 매일 매 순간 의도적으로 살이 빠진 후의 나를 상상하면서 배고픔을 참아보는 건 어떨까? 물론 매 순간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이 쉽지 않겠지만, 그만큼 다이어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사는 것이 굶거나 몸을 혹사시킬 정도로 무리한 운동을 하는 것보다는 조금이라도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다이어트 성공 후의 날씬해진 몸을 가진 나를 상상하면서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져보자.
독일의 유명 최면술사가 쓴 책 <자기 최면 다이어트>에서는 다이어트가 몸이 하는 것이 아니라 뇌가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난 너무 뚱뚱해'라고 낙담하는 사람은 절대 다이어트에 성공할 수 없다. '왜 이렇게 살이 쪘지? 보기 싫어'같은 부정적인 생각이 드는 순간 '멈춤'이라고 쓰인 빨간 표지판을 떠올려라. 머릿속으로 '삭제'라는 단어를 최소 3회 이상 반복해라. 그 다음 오직 호흡에만 집중한다. 숨이 코로 들어와 폐를 부풀리고, 몸 곳곳으로 퍼진 뒤 다시 코로 나오는 과정을 천천히 느낀다. 이후 떠오르는 부정적 생각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꾼다. 예를 들어 '난 너무 뚱뚱해'란 생각이 들면 '지금 모습은 중요하지 않아, 난 곧 날씬해질 테니까'라고 바꿔본다. 이 새로운 생각을 20회 이상 반복한다. 가능하면 소리 내 말한다. 다시 호흡에 집중한다. 마지막으로 최소 30초 이상 미소를 짓는다. 저자는 이 훈련이 몸의 긴장을 풀어주고, 기분 전환을 유도하며, 잠재의식에 깊이 작용한다고 설명한다.
다이어트를 할 때 습관적으로 최신 유행하는 다이어트 방법이나 다이어트 보조제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많다. 사람마다 체질이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따라 하거나 아무 약이나 복용해서는 안 되는 데도 말이다. 일단 다이어트를 하기로 마음 먹었으면 다이어트일기를 써보는 것도 좋겠다. 오늘 무엇을 먹었는지, 무슨 운동을 했는지를 적고 앞으로 어떤 방법으로 다이어트를 해나갈 지 방향성을 수정보완 해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살이 잘 안 빠지는 진짜 이유 (0) | 2020.07.30 |
---|---|
다이어트가 주는 긍정적인 효과 (0) | 2020.07.29 |
다이어터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식욕을 억제하는 방법 (0) | 2020.06.05 |
댓글 영역